반응형 민주주의4 [포스트 트루스] 가짜 뉴스와 탈진실의 시대 이해하기_03_인지편향 탈진실과 인지편향의 관계1. 확증 편향(Confirmation Bias)확증 편향은 사람들이 자신의 기존 신념이나 가설을 확인해주는 정보를 선호하고, 반대되는 증거는 무시하거나 평가절하하는 경향. 이는 탈진실 환경의 핵심 심리적 메커니즘이다.● 사람들은 자신의 정치적, 사회적 신념을 강화하는 뉴스와 정보를 적극적으로 찾고 소비한다.● 이미 형성된 신념에 반하는 팩트체크나 반론은 오히려 기존 신념을 더 강화하는 '역화 효과(backfire effect)'를 낳는다.● 소셜 미디어 알고리즘은 이러한 확증 편향을 증폭시켜, 에코 챔버를 형성한다.2. 동조 편향(Conformity Bias)사람들은 자신이 속한 집단의 의견이나 판단에 동조하는 경향.● 정치 양극화가 심화된 환경에서, 사람들은 자신의 정치적 정체.. 2025. 3. 4. [포스트 트루스] 가짜 뉴스와 탈진실의 시대 이해하기_01_개념정의 "가짜뉴스 선거공작은 사형에 처해야 할 반국가적 범죄" - 김기현 국민의힘 대표(2023)우리는 여전히 민주주의 국가에 살고 공화와 민주를 헌법적 가치로 삼고 있지마, 가짜뉴스가 판을 치고, 그 강도는 더욱 심해지고 있다. 이제는 도를 넘어 헌법재판소도 가짜뉴스로 공격하는 세상이 되었다. 어쩌다 이렇게 되었을까?민주정을 유지 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다. 언제 히틀러, 윤석열 같은 놈들이 나타나 법을 지키는 척하며 민주국가를 손바닥 뒤집듯이 독재국가로 바꿀지 모르는 일이다. 사람의 목숨을 파리만도 못하게 여기고 국가와 국민을 개인의 소유물처럼 여기는 놈들이 체제를 전복하기 위해 일을 꾸밀지 모른다.그런 일을 막으려면 시민은 현상을 이해해야 한다. 우리에게 영향을 미치는 가장 우선적이고 민감한 매체는 바로 뉴.. 2025. 3. 3. [요약/발췌] HATE : 우리는 왜 검열이 아닌 표현의 자유로 맞서야 하는가_02 ☆ 책 내용 정리1. 혐오표현금지법은 표현의 자원칙과 평등원칙을 위반한다. 수정헌법 1조 위반>- 염려되는 해로운 경향 떄문에 또는 탐탁지 않은 불온한 관점 때문에 표현을 억압할 권한을 정부에 부여하게 되어 정부는 제한받지 않는 검열권을 같게 된다. p.44- 혐오표현금지법의 가장 참담한 영향 중 하나는 정부 정책을 비판하거나 그와 비슷한 종류의 발언을 하는 정치인들에게 그것이 정기적으로 집행된다는 것이다. p,81- 표현의 자유라는 헌법적 권리는…공적 토론의 장에서 정부의 제약을 제거하고, 어떤 관점을 우리 각자가 받아들일지 결정을 내리게 하기 위해 고안되었다. 그러한 자유가 궁극적으로 더 유능한 시민과 더 완벽한 정치를 만들어 낼 것이다. P.93 2. 혐오표현의 처벌- 혐오표현은 ‘표현’을 근거로 .. 2025. 2. 25. [책익는마을_발제문] HATE : 우리는 왜 검열이 아닌 표현의 자유로 맞서야 하는가_01 ☆ 책을 읽기 전 알았으면 좋았을 것들[헌법상 보호되는 혐오표현] 수정헌법 제1조에서 규정하고 있는 표현의 자유에 포함된 ‘표현’를 의미한다. 책에서 나오는 모든 ‘헌법상 보호되는 혐오표현’은 수정헌법 1조에서 규정하는 표현의 자유에 포함된 ‘표현’이라고 해석해도 무방하다.참고> 수정헌법 제1조 (종교, 언론, 출판, 집회의 자유 및 청원의 권리)연방의회는 국교를 정하거나 또는 자유로운 신앙행위를 금지하는 법률을 제정할 수 없다. 또한 언론, 출판의 자유나 국민이 평화로이 집회할 권리 및 고충의 구제를 위하여 정부에게 청원할 수 있는 국민의 권리를 제한하는 법률을 제정할 수 없다.참고> 대한민국 헌법에서 표현의 자유제20조 ① 모든 국민은 종교의 자유를 가진다. ②국교는 인정되지 아니하며, 종교와 정치는.. 2025. 2. 25. 이전 1 다음 반응형